Kearney Insight

Strategic Skill Transformation의 성공을 위한 접근방법

2023.03.15

 

 

신기술에 따른 비즈니스의 변화는 인력의 스킬셋 측면에서의 변화를 요구한다. 기술과 자동화 기반의 직무 대체, 과거에 없던 새로운 직무의 생성, Routine 업무의 축소 및 인간에 의해서만 수행 가능한 과업/스킬에 대한 수요 증가 등이 직무/스킬 측면에서의 새로운 변화 흐름으로 나타나고 있다.

스킬 트랜스포메이션은 새로운 스킬 수요에 대응하여 기존 스킬 Gap을 줄이는 제반 활동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기업은 구성원들에게 고용 가능성 제고 및 지속적 경력개발이라는 차별적인 직원가치제안 (Employee Value Proposition)을 제공할 수 있고, 미래 지속성장을 위한 핵심 역량 확보를 통해 성공적인 비즈니스 트랜스포메이션을 이룰 수 있을 뿐 아니라, 산업의 경쟁력과 고용을 유지함으로써 사회적 가치 창출 측면에서도 기여할 수 있다. 즉, 개인-기업-사회 차원에서의 지속가능성 (Sustainability) 제고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성공적인 스킬 트랜스포메이션을 통해 실질적인 비즈니스 트랜스포메이션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1) 필요 스킬 정의, 2) 필요 스킬 수요 예측/갭 파악, 3) 스킬 기반 인력계획 수립, 4) 필요 스킬의 지속적 개발 등의 4단계 스킬 개발 프로세스와 함께, 스킬 기반의 HR 프로세스 구축, 그리고 스킬 개발을 촉진하는 조직문화 조성이 필요하다. 

 

 

 

 

 


Biz Transformation을 위한 스킬 중심의 HR Enabler

 

스킬 트랜스포메이션의 기본 프로세스


1) 필요 스킬 정의

회사의 사업 전략 변화 및 거시적 인력 트렌드의 Impact를 분석하여 필요 스킬을 정의한다. 미션/비전 및 전략 목표 정의를 통해 우리 기업의 중장기적 성장 방향성을 파악하고, 이에 따라 강화/확장해야 하는 기능을 도출하며, 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스킬을 정의한다. 이와 함께 산업 내에서 예상되는 트렌드에 따른 인력 운영 모델 변화까지 고려하여 필요 스킬이 무엇인지 파악한다. 

 

2) 필요 스킬 수요 예측 및 갭 파악

필요 스킬의 수요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인력 구조 및 직무체계, 변화 동인 등에 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런 다음 현재 인력구조에 미래 스킬 변화 Impact 요인을 반영하여 미래 필요 스킬의 수요를 예측하여, 현재 인력 규모와의 갭을 파악할 수 있다. 

 

3) 인력계획 수립

스킬 갭 중 우선 순위가 높은 영역을 선정해 갭 축소를 위한 인력 확보 및 육성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이 때, 노동 시장에서의 희소성과 사업에의 중요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외부 인재 채용, 내부 인력 개발, 파트너십 활용, 아웃소싱 등 갭 축소를 위한 대안을 선택한다. 

 

4) 필요 스킬의 지속적 개발

스킬 개발 프로그램의 목적과 기대효과는 무엇이고, 미래의 성공적 직무 수행을 위해 개발이 필요한 스킬은 무엇인지 명확히 한 후에, 스킬 개발을 위한 효과적 러닝 프로세스 설계, 조직 매커니즘 및 스킬 개발 방식을 다각적으로 검토 한다. 

 

 

스킬 중심으로 HR 프로세스 혁신하기 


기본적인 스킬 체계 정의와 함께 스킬 기반의 인력 계획 및 개발 체계가 마련되었다면 이제는 더 나아가 스킬 트랜스포메이션이 실질적으로 작동되도록 하기 위해 HR 프로세스 전반을 개선해 나가야 한다. 구체적으로, 직무 및 스킬 체계의 지속적인 업데이트/관리, 스킬 데이터 기반의 인력 이동 및 적재적소 배치 프로세스 구현, 핵심 스킬 보유 인재에 대한 관리, 스킬 체계와 연계된 경력개발 프로세스, 스킬 기반의 자기개발 프로세스, 스킬 개발/관리를 촉진하는 육성형 평가, 스킬 개발 동기부여 강화를 위한 보상 방식 도입 등이 그것이다.

 

 

스킬 중심의 조직문화 혁신


성공적 트랜스포메이션을 위해서는 문화적 기반을 마련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 이를 위해 리더십 측면에서는 스킬 트랜스포메이션의 필요성을 알리고, 평생 학습 / 개발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독려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고, 직원 가치 제안 측면에서 스킬 중심의 인재 관리가 주는 직원 입장에서의 효익을 충분히 커뮤니케이션함으로써 스킬 중심의 조직문화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스킬 트랜스포메이션은 기업 뿐 아니라 사회적 차원의 아젠다이다. 스킬 트랜스포메이션이 비즈니스 트랜스포메이션으로 연결되려면 단순히 교육을 강조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HR 프로세스 및 조직문화 전반이 스킬 중심으로 재편될 수 있도록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